6월부터 전월세 신고 안 하면 과태료 100만원?
전월세 계약, 갱신할 때 '신고'를 안 하면 생각보다 큰 불이익이 있습니다.
오늘은 어렵고 복잡해 보이는 전월세 신고제, 5분 만에 싹 정리해드릴게요. ✍️
목차
- 전월세 신고제란 무엇인가요?
- 전월세 신고제 적용 대상은?
- 전월세 신고 방법 5분 요약
- 전월세 신고제 Q&A 총정리
- 전월세 갱신 시 주의사항 체크리스트
- 신고 안 하면 과태료? 꼭 기억할 것!
- 마무리: 계약할 때 이것만 기억하세요
1. 전월세 신고제란 무엇인가요?
전월세 신고제는 임대차 계약을 맺으면 30일 이내에 정부에 신고하는 제도입니다.
- ✅ 신고 시기: 2025년 6월부터 본격 과태료 부과
- ✅ 신고 대상: 보증금 6,000만 원 초과 or 월세 30만 원 초과하는 주택
- ✅ 신고 주체: 임대인과 임차인이 함께 (둘 중 한쪽만 해도 인정)
신고를 하면 계약 정보가 정부 시스템에 기록돼서, 시장 투명성이 높아지고 분쟁 시에도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2. 전월세 신고제 적용 대상은?
아래 둘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신고 대상입니다.
구 분 | 기 준 |
보증금 | 6,000만 원 초과 |
월 세 | 30만 원 초과 |
단, 예외도 있습니다.
다가구주택이나 고시원처럼 일부 건물은 신고 제외될 수 있어요.
(지자체 확인 필요)
3. 전월세 신고 방법 5분 요약 🏃
① 계약 체결 후 30일 이내
② 아래 중 하나로 신고
- 주민센터 방문 신고
- 온라인 신고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필수 준비물
- 임대차 계약서 원본
- 신분증
신고하면 좋은 점
- 확정일자 자동 부여
- 임대차 권리 보호 강화
4. 전월세 신고제 Q&A 총정리 ✨
Q1. 갱신할 때도 신고해야 하나요?
✅ 네. 보증금, 월세 변동 여부와 무관하게 갱신 신고 필수입니다.
Q2. 확정일자 받으면 신고 안 해도 되나요?
✅ 아니요. 확정일자와 전월세 신고는 별개입니다.
Q3. 전월세 신고하면 세금 더 내야 하나요?
✅ 신고 자체로 세금은 추가 안 나옵니다. (단, 임대인은 참고할 것)
Q4. 신고 안 하면 무조건 100만원 과태료인가요?
✅ 기본은 최대 100만원이지만, 감경/면제 사유가 인정되면 줄어들 수 있습니다.
5. 전월세 갱신 시 주의사항 체크리스트
- ✅ 계약서 새로 작성하기 (구두 약속 금지)
- ✅ 전월세 신고 다시 하기
- ✅ 보증금·월세 인상 5% 제한 준수
- ✅ 특약사항 꼼꼼히 검토하기
특히, 임대인이 보증금 과도하게 인상할 경우 5% 초과는 불법이니 바로 대응해야 합니다!
6. 신고 안 하면 과태료? 꼭 기억할 것!
- 전월세 계약 체결 or 갱신 후 30일 이내 신고
- 신고 안 하면 건당 최대 100만 원 과태료 부과
- 특별한 사유 없이 지연하면 가차 없습니다
✅ 30일 이내 신고!
✅ 갱신 때도 꼭 신고!
두 가지만 기억하면 절대 문제 생기지 않습니다.
7. 마무리: 계약할 때 이것만 기억하세요
부동산 계약은 단순히 집 구하는 걸 넘어 권리와 책임을 지키는 일입니다.
전월세 신고제는 귀찮아 보여도,
🔹 나중에 보증금 지키고
🔹 분쟁 없애는 데 엄청나게 중요한 장치입니다.
추가 꿀팁! 🍯
👉 전자계약 시스템(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을 이용하면
- 계약 + 전월세 신고 + 확정일자 부여
✅ 5분 만에 다 끝낼 수 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 기준 75세로 상향! 1960년생부터 복지 혜택 10년 늦어진다ㅣ기초연금·교통·일자리, 무엇이 달라지나? (12) | 2025.04.22 |
---|---|
지하철 요금 인상 불가피ㅣ6월부터 1,550원! (32) | 2025.04.21 |
2025 급성장하는 AI 애플리케이션 종류와 특징 | 지브리풍 AI 저작권 이슈 분석 (35) | 2025.04.06 |
[2025년 최신정리] 실비보험 세대별 총정리 – 1세대부터 4세대까지 장단점 비교! (9) | 2025.04.06 |
청년도약계좌로 5천만 원 만들기! 내가 해당될까? (15)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