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청년의 눈물, 전세사기 70%가 2030세대…다세대·오피스텔에 집중

시레니타 2025. 5. 4. 07:30

전세사기 피해자 3만 명 육박, 10명 중 7명은 청년…현황과 대책은?

 

목  차


1. 전세사기 피해, 왜 이렇게 늘었을까?
2. 피해자 10명 중 7명은 청년…이유는?
3. 다세대·오피스텔에 피해 집중, 그 배경은?
4. 국토교통부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 심의 결과
5. 특별법상 피해자 인정 기준과 제외 사례
6. 앞으로의 과제와 내 생각

 

 

1. 전세사기 피해, 왜 이렇게 늘었을까?


최근 뉴스나 커뮤니티를 보면 ‘전세사기’라는 단어가 정말 자주 등장합니다.

실제로 국토교통부와 국회 자료에 따르면, 2025년 4월 기준 전세사기 피해자는 3만 명에 육박한다고 해요.

 

2025년 2월까지만 해도 2만7천 명대였으니, 피해가 얼마나 빠르게 늘고 있는지 실감이 납니다.

전세사기란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거나, 이중계약·명의도용 등으로 세입자가 금전적 피해를 입는 범죄입니다. 

경제적 어려움과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이 겹치면서, 사기 범죄도 함께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2. 피해자 10명 중 7명은 청년…이유는?


가장 충격적인 사실은 전세사기 피해자의 70% 이상이 20~30대 청년이라는 점입니다. 

30대가 1만3,350명, 20대가 7,082명으로, 사회초년생이나 신혼부부 등 젊은 층이 주로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이유는 명확합니다. 

사회 경험이 부족하고, 저렴한 전세 매물을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 청년들은 전세 계약 과정에서 꼼꼼히 따지기보다는, 급하게 집을 구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리는 경우가 많죠.

 

3. 다세대·오피스텔에 피해 집중, 그 배경은?


전세사기 피해는 아파트가 아닌 다세대주택, 오피스텔, 다가구주택 등 소형 주택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다세대주택이 30.5%, 오피스텔이 20.9%, 다가구주택이 17.9%로, 전체 피해의 70% 가까이가 이들 주택에서 발생합니다.

 



이유는 소형 주택의 공시가격이 낮고, 세입자가 많아 피해가 한 번에 대규모로 발생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 이런 주택은 임대인(집주인)과 임차인(세입자) 사이의 정보 비대칭이 심해 사기꾼들이 노리기 쉽습니다.

 

4. 국토교통부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 심의 결과


정부도 전세사기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4월 한 달 동안 세 차례에 걸쳐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를 열었습니다. 

총 1,905건을 심의해 874건을 전세사기 피해자로 최종 가결했습니다.

반면, 특별법상 피해자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522건은 부결됐고, 보증보험이나 최우선변제금 등으로 보증금 전액 반환이 가능한 201건은 피해자 인정 대상에서 제외됐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위원회에서 최종 결정한 전세사기 피해자는 총 2만9,540건에 달합니다.

 

5. 특별법상 피해자 인정 기준과 제외 사례


2023년 6월 시행된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특별법’에 따라 피해자 인정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만, 실제로 피해를 입었어도 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보증보험에 가입해 전액을 돌려받을 수 있거나, 임차보증금이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실 때문에 일부 피해자들은 “실질적인 피해 구제가 어렵다”는 불만을 토로하기도 합니다.

 

6. 앞으로의 과제와 내 생각


전세사기 피해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특히 청년과 서민, 그리고 소형주택 거주자들이 가장 큰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정부와 국회, 그리고 관련 기관이 피해자 보호와 예방에 더욱 힘써야 할 시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전세 계약 전 등기부등본 확인, 보증보험 가입, 공인중개사 활용 등 기본적인 안전장치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도 실질적인 피해 구제와 예방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계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전세사기 피해에 대한 정보와 대책, 그리고 실제 피해 사례까지 꼼꼼히 살펴보았습니다. 여러분도 전세 계약 시 꼭 주의하시고, 주변에 피해자가 있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