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술제, 창의력과 사고력을 키우는 교육 축제

시레니타 2025. 4. 4. 18:47

고등학교 다닐 때 한 번쯤은 경험했을 ‘학술제’.

어떤 사람에겐 하나의 학교 행사일 수도 있지만, 누군가에겐  스스로 무언가를 탐구하고 발표해본 값진 경험이기도 합니다.

 

요즘 고등학교에서는 매년 다양한 형태의 학술제가 열립니다.

교과 지식만 배우는 게 아니라, 학생들이 주제를 정하고 조사하고 발표까지 전부 직접 하는, 말 그대로 자기 손으로 만들어가는 작은 연구 발표회지요. 이 과정에서 배우는 게 정말 많습니다.

 

단순히 공부를 넘어서,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를 고민하게 되거든요.

 

출처: 김천일보
사진출처: 김천일보


■ 고등학교 학술제, 뭐 하는 건가요?

학술제는 보통 한 학기나 1년에 한 번 열려요.

과학, 사회, 국어, 영어 등 과목에 제한 없이 관심 있는 주제를 골라서 탐구하는 거죠.

 

어떤 친구는 실험을 하기도 하고, 어떤 팀은 인터뷰나 설문조사를 통해 현실적인 문제를 파고들기도 해요.

그렇게 준비한 내용을 보고서나 PPT로 정리하고, 전시하거나 발표하는 게 학술제의 기본 흐름이에요.

 

이런 과정을 겪다 보면 자연스럽게 자료 조사, 발표 능력, 협업 같은 실전 스킬이 생기죠.

발표를 준비하다 보면 말도 조리 있게 하게 되고, 팀 활동을 하다 보면 소통하고 타협하는 법도 배우게 됩니다.

 

■ 학술제가 특별한 이유

 

사실 학술제 준비는 쉽진 않아요. 시간이 많이 들고, 팀워크가 안 맞으면 힘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만큼 남는 것도 많습니다.

 

친구들과 밤늦게까지 남아서 PPT 만들던 기억, 선생님으로부터 피드백 받으면서 점점 나아지던 과정, 발표 후 느꼈던 뿌듯함.

이런 것들이 일반 수업 시간에서는 얻기 힘든 진짜 경험이거든요.

 

그리고 때로는 이게 진로로도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환경문제를 조사하다가 환경공학에 관심이 생기는 친구도 있고, 역사 주제를 파고들다가 사학과에 진학할 수도 있고요.

 

스스로 찾아보고 발표해보는 경험이 그만큼 큰 영향을 주는 겁니다.

 

■ 요즘 학술제는 디지털 시대답게 진화 중~

 

예전엔 교실에 판넬 세워놓고 종이로 정리했지만 지금은 다릅니다.

영상 편집, 웹사이트 제작, 디지털 전시 같은 방식으로도 발표한답니다.

 

유튜브 채널을 만들어서 학술제 콘텐츠를 올리면 많은 학생들이 영상 편집이나 디자인에도 관심을 갖게 되고요.


이런 변화는 단순한 발표를 넘어서, 디지털 리터러시 같은 미래에 꼭 필요한 능력까지 키우게 해준답니다.

 

■ 앞으로의 학술제가 더 기대되는 이유

 

고등학교 학술제는 누가 시켜서 하는 공부가 아니라, 스스로 흥미를 가지고 파고드는 공부에 가깝습니다.

물론 결과물도 중요하지만, 그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얼마나 성장하는지를 보는 게 더 의미 있죠.

 

그래서 앞으로는 더 많은 학교에서 형식적인 발표를 넘어서, 진짜 학생 중심의 학술제가 자리잡았으면 좋겠습니다.

선생님과 학교가 조금만 도와주면, 학생들은 정말 놀라운 걸 만들어낼 것입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게 뭔지, 무엇을 더 알고 싶은지 자연스럽게 발견하게 되는거죠.

 

지금 이 글을 보고 있는 여러분도 혹시 고등학교 때 학술제 준비했던 기억이 있으신가요?

또는 자녀가 학술제를 앞두고 있다면, 그 과정을 마음껏 응원해 주세요.

 

학술제는 단순한 행사 그 이상,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배우는 가장 생생한 순간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