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석탄의 시대는 끝났다ㅣ중국, 3년 뒤 전력 절반을 저탄소로 바꾼다!”

시레니타 2025. 5. 13. 12:00

중국, ‘전기 국가’로의 도약: 청정에너지 산업 혁명과 미래 전망


목차

 

1.  들어가며
2. 중국 청정에너지 산업의 눈부신 성장
3. ‘전기 국가’란 무엇인가?
4. 중국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
5.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
6. 기술혁신과 미래 청사진
7. 맺음말

 

 



1. 들어가며


최근 파이낸셜타임즈를 비롯한 글로벌 주요 매체들은 중국이 3년 뒤인 2028년이면 전체 전력의 절반을 저탄소 에너지로 공급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제 중국은 ‘전기 국가’로 불릴 만큼 에너지 소비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중국의 청정에너지 산업과 그 혁신이 가져올 미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중국 청정에너지 산업의 눈부신 성장


중국의 청정에너지 산업은 최근 몇 년 사이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청정에너지 산업이 중국 GDP의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등 신(新) 3대 산업이 전체 부가가치의 75%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 보급률은 41%에 달하고, 태양광 발전 설비 용량도 전년 대비 28%나 증가했습니다. 

청정에너지 관련 투자와 매출은 13조 6,000억 위안(약 2,700조 원)으로, 부동산 산업을 뛰어넘는 수준입니다.

 



 

3. ‘전기 국가’란 무엇인가?


‘전기 국가(Electrostate)’란 최종 에너지 소비의 절반 이상을 전기로 대체하는 국가를 의미합니다. 

중국은 2028년이면 전체 전력의 50%를 수력, 태양력, 풍력, 원자력 등 저탄소 에너지로 공급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세계 최초로 ‘전기 국가’에 등극하는 것으로, 글로벌 에너지 전환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4. 중국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


중국 정부는 ‘쌍탄소(双碳)’ 전략(2030년 탄소배출 정점, 2060년 탄소중립)을 핵심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2023년 한 해 동안 청정에너지 투자액이 9,400억 달러에 달했고, 발전설비 용량의 58.2%가 청정에너지로 채워졌습니다.

 

정부는 산업별 맞춤형 전략을 통해 석탄 사용을 줄이고재생에너지 소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입니다.

 

5.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


중국은 전 세계 재생에너지 신규 설치 용량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이 처음으로 화력발전을 추월했고, 2038년에는 태양광과 풍력 발전이 석탄화력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전 세계 에너지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재생에너지 비용 하락과 기후변화 대응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6. 기술혁신과 미래 청사진


중국 청정에너지 산업의 성장은 기술혁신과 정부의 강력한 지원이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분산형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 스마트 그리드 등 첨단 기술이 빠르게 도입되고 있으며,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도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2030년대 중반 이후에는 태양광과 풍력 중심의 재생에너지 확대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기후 리더십을 강화하며, 2035년까지 상향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도 준비 중입니다.

 

7. 맺음말


중국은 청정에너지 산업을 국가 경제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아, 세계 최초의 ‘전기 국가’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투자와 정책, 기술혁신이 맞물리면서 2028년에는 전체 전력의 절반을 저탄소 에너지로 조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의 산업구조와 경제성장 패러다임을 바꿀 뿐 아니라, 글로벌 에너지 전환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것입니다. 

 

앞으로 중국의 청정에너지 혁신이 전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더욱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